- 설명 : 2019년 중학교 학업성취도 평가는 247개 중학교 13,379명의 학생을 표집하여 시행하였다. 주요 분석 결과, 국어교과의 우수학력, 보통학력, 기초학력,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각각 39.7%, 43.1%, 13.0%, 4.1%로 나타났으며, 수학교과의 우수학력, 보통학력, 기초학력,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17.9%, 43.4%, 26.9%, 11.8%로 나타났다. 영어교과의 우수학력, 보통학력, 기초학력,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율은 각각 24.2%, 48.5%, 24.1%, 3.3%로 나타났다.
- 분류체계 : 교육
- 기관명 : 한국교육과정평가원
- 바로가기 : https://www.data.go.kr/data/15083901/fileData.do
- 키워드 : 2019년,국가수준 학업성취도,중학교
|
기관명 한국교육과정평가원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: 고등학교 수학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[연구 보고] 졸업학력 검정고시 출제 방향 및 기준의 개선방안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문해력, 수리력 진단도구 개발(Ⅰ) - 문해력, 수리력의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을 중심으로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[연구 보고] 중학교 영어 교과서 기반 말하기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[연구 보고] Development of a mobile-based speaking program and its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제 컴퓨터·정보 소양 연구 ICILS 2018 결과 분석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등 국어, 도덕 교과용도서 검정 전환 타당성 연구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교 평화·통일교육의 개념, 핵심 역량, 목표 정립[2020 KICE 이슈페이퍼]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[연구 보고] Development of writing assessment software for high sch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[연구 보고] 초·중등학교 교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: 국어, 사회, 수학, 체육,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,중학교 교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: 수학, 과학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[연구 보고]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교실수업에서의 학생평가 방안 :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Exploring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미래 경북교육체제 구축 연구 View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학습경험 분석 View
|